" />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엉덩관절 (the hip joint)
    카테고리 없음 2020. 9. 29. 23:49

    엉덩관절은 구와관절이며, 대퇴골 볼의 머리부가 골반의 관골구(소켓)과 접합되어 형성된다.

    관골구는 장골, 좌골, 치골의 연합으로 형성되고, 관절순(섬유연골 테두리)에 의해 깊어진다.

    어깨관절과 다르게, 엉덩관절은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된 관절이다. 엉덩관절의 구조와 더불어, 강력하지만 느슨한 섬유피막이 널븐 범위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고, 몸통 양쪽 팔과 머리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충분한 안정섣을 갖게 해준다.

    엉덩관절은 삼축관절이며, 시상면에서 굴곡과 신전, 관상면에서 외전과 내전, 횡단면에서 내회전 또는 내측 회전, 외회전 또는 외측회전 그리고 회선이라고 불리는 이 움직임들의 조합을 가능케한다. 엉덩관절의 적절한 움직임은 주로 보행을 위해서 필요하지만, 의자에 앉기, 의자에서 일어서기, 바닥에서 물건 집어올리기, 신발끈 매기 등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엉덩관절의 인대와 근육

    엉덩관절의 관절낭은 강력하고 밀도가 높으며, 강한 인대들에 의해서 더욱 보강되어 있다. 이 인대에는 'y'인대라고 불리는 장골대퇴인대, 좌골대퇴 인대, 그리고 치골대퇴인대가 포함된다.

     

    엉덩관절에 작용하는 근육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 많은 경우는 다관절 근육이며 그 기능이 매우 복잡하다.

     

    고관절 굴곡극(hip flexors)- 장요근, 대퇴직근, 봉공근, 대퇴근막장근, 치골근, 장내전근, 단내전근, 박근

     

    고관절신전근(hip extensors)-햄스트링근육군,(대퇴이두근, 반막근,반힘줄근) , 대둔근, 대내전근

     

    고관절외전근(hip abductors) -중둔근, 소둔근, 대퇴근막장근, 봉공근, 상부 영역의 장요근 및 이상근

     

    고관절 내전근(hip abductors) -장장내전근, 단내전근,대내전근, 박근, 치골근

     

    고관절 내회전근(hip internal rotators) - 중둔근, 소둔근, 대퇴근막장근, 이상근, 반힘줄근, 반막근

     

    고관절 외회전근(hip external rotators) - 대둔근 중둔근 후방섬유, 봉공근, 대퇴이두근, 심부 외회전근, 이상근, 내폐쇄근, 외폐쇄근, 대퇴방형근, 상쌍자근, 하쌍자근

     

    엉덩관절의 부상

     

    근긴장(musicle strains)

     

    엉덩관절 근긴장은 흔한 부상이며 과다한 사용 또는 지나친 압박으로 인해 근육이 손상을 입는것이다.

    고도의 근긴장은 근육의 기능 상실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근긴장은 근육 중에서 가장 약한 부분인 근건접합부에서 대체로 발생한다.

     

    엉덩관절에서 가장 흔히 그긴장이 생기는 근육은 ' 햄스트링' ' 장요근' '대퇴직근' ' 장내전근'이다. 

    장골능 좌상은 장골능 안쪽에 붙어있는 고관절 굴곡근의 긴장이나 타박상을 뜻한다. 근긴장은 주로 특정한 사건에 의해 발생하는 국소 통증과 함께 존재하게 된다. 그 심각성에 따라서 국소적으로 붓거나 압통이 있거나,  변색되거나, 악화될 수 있다.

     

    건염

    댓글

Designed by Tistory.